병원에서 감기약과 항생제 등을 처방 받고, 하루 이틀 복용하고 났는데, 눈동자 주변이 정말 빨개졌어요. 눈이 충혈된 것 처럼 말이지요. 그냥 우연히 이렇게 된건지, 아니면 감기약으로 인해 이럴 수도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.



감기약 먹고 눈이 빨개졌어요. 혹시 약 부작용일까요?

감기에 걸려 병원을 다녀온 뒤, 약을 하루 이틀 정도 복용했는데 눈이 갑자기 충혈되었다면 누구나 당황하게 됩니다.

“이거 눈병인가? 아니면 약 때문에 그런 걸까?”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. 물론 우연히 그 시점에 눈병에 걸렸거나 다른 원인으로 눈이 빨개졌을 수도 있지만, 실제로 감기약이나 항생제 복용 후 눈이 빨개지는 증상은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.

오늘은 감기약으로 인해 눈이 빨개지는 것이 가능한지 의학적으로 확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알려드릴게요.


1. 감기약이나 항생제 때문에 눈이 빨개질 수 있나요?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.

약물 알레르기 반응으로 감기약이나 항생제의 일부 성분에 과민 반응(알레르기)이 생기면, ‘눈 충혈’, ‘눈 가려움’, ‘눈물’ 그리고 심하면 ‘눈꺼풀 부종’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특히 페니실린계,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진통제/해열제(NSAIDs, 아세트아미노펜) 등에서 드물지만 결막염 유사 증상이 보고됩니다. 미국 FDA와 국내 식약처(KFDA)에서도 위와 같은 안과적 부작용을 명시하고 있습니다. 혹시 본인이 복약 중인 약 성분 중에 위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한 번 확인해 보세요.

 

왜 눈의 충혈이 생기는 걸까요?

일부 사람들에게는 감기약이나 항생제의 특정 성분이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눈에 염증 반응이 생기면서 충혈되거나 가려움증, 눈물 증가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되죠.
이는 약물 유발성 결막염(drug-induced conjunctivitis) 또는 약물 과민반응(drug hypersensitivity)의 일종입니다.

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성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.

  • 페니실린,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
  • 이부프로펜, 아세트아미노펜 등 진통 해열제
  • 항히스타민제, 점액 용해제 등 일부 감기약 보조 성분

이들 성분이 체내 면역세포를 자극하거나, 드물게 혈관 확장, 알러지 유사 반응을 유도하여 눈의 결막(눈 흰자 주변) 부위가 충혈될 수 있습니다.

 

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충혈과 바이러스로 인한 충혈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?

구분 약물 부작용성 충혈 바이러스성 결막염
발생 시점 약 복용 1~3일 내 감기 후반기 혹은 회복기
동반 증상 눈 가려움, 약한 부종, 피부 발진 등 동시 눈물, 눈곱, 이물감, 전염 가능성
지속 시간 약 복용 중 또는 중단 직후에 증상 호전 일주일 이상 지속, 점점 심해질 수 있음
전염성 없음 있음 (주의 필요)
진단 확인법 약 중단 후 증상 개선, 약 성분 검사 바이러스 검사, 결막 상태 관찰

 

약에 의한 눈 충혈이 의심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?

약물에 의한 눈 충혈이 의심된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르세요:

1) 처방해준 병원/약국에 즉시 알리기 -> 어떤 성분이 원인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2) 복용 중단 여부는 전문가와 상의 후 결정 -> 감기 자체가 심하지 않다면 대체 약 처방이 가능합니다.

3) 인공눈물 사용 또는 냉찜질로 눈 관리 -> 자극을 줄이고 증상 완화 가능

4) 증상이 계속되면 안과 진료 -> 세균성/바이러스성 결막염과의 감별이 중요합니다.





2. 감기 바이러스 때문에 눈이 빨개질 수도 있어요

눈 충혈이 꼭 약 때문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. 즉 약이 아닌 감기의 증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많은 경우, 감기를 일으킨 바이러스(특히 아데노바이러스)가 눈에 감염되어 생기는 바이러스성 결막염일 수 있습니다.

바이러스성 결막염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.

  • 눈이 붉어지고 눈물이 많아짐
  • 눈곱이 끼고, 가려움
  • 한쪽에서 시작해 반대쪽 눈으로 퍼지기도 함

이런 증상은 보통 감기 초기 혹은 회복 중에 나타날 수 있으며, 국내 주요 종합 병원에서도 감기→결막염의 연결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. (서울대병원·서울아산병원·분당서울대병원 등)

 


3. 단순 피로, 눈 자극 등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.

앞에 설명 드린 약이나 바이러스 외에도 다음과 같은 생활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  • 렌즈 착용 후 눈 비비기
  • 수면 부족, 눈의 과도한 피로
  • 먼지, 건조한 환경 등

 


4. 빨갛게 충혈되는 증상이 보이면 병원에 가야 될까요?
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반드시 병원(안과) 진료를 받아보세요.

증상 주의 이유
눈 통증이 심함 염증 또는 각막 손상 가능성
눈곱이 많거나 고름 같은 분비물 세균성 결막염 의심
시력 저하 느낌 망막/각막 문제 가능성
충혈이 며칠간 계속됨 지속성 염증 가능

 


눈이 빨개지는 증상은 약 때문일 수도 있고, 감기 자체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

감기약을 먹은 뒤 눈이 충혈되었다면→ “약 부작용” vs “감기 바이러스 영향” 두 가지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판단해야 합니다.

일시적인 증상이라면 조금 지켜보면서 인공눈물이나 찜질 등으로 관리하시고, 증상이 악화되거나, 눈의 통증/시력 문제까지 있다면 반드시 병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.

그리고 증상이 심하다고 생각하는 경우, 해당 병원 및 약국에 바로 전화하시어 증상을 설명하고, 복용 지속 여부에 대해 문의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. 병원에서 복용 중단을 권고한 경우, 약 복용 중단 1~2일 내에 증상이 호전되는지 확인해보세요. 그렇다면 약에 의한 눈 빨개짐 현상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



감기약 먹고 눈이 충혈된 것처럼 빨개졌어요. 혹시 약 부작용일까요?